이탈릭체는 존잡생각 Ep.18에서 나온 내용입니다.
[회사가 빠르게 성장하는 경우]
1. 개인에게 다양한 기회
디스콰이엇의 경우 Social Capital 부분에서 다양한 인연 & 기회가 주어졌어요.
초기 팀에서 경험해볼 수 있는 사건(?)/이벤트들을 겪었어요.
다양한 것을 자유롭게 시도할 수 있는 팀 문화에요.
2. 개인이 회사의 성장을 따라잡지 못하는 경우 발생
만약 디스콰이엇이 exponential하게 성장한다고 했을 때, 저도 그에 맞게 성장할 수 있을지 모르겠어요. 여러분이 생각하는 개인의 성장을 트래킹하는, 알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김우중님은 조직 내에 있는 동안은 그걸 느끼기 어렵다고 말씀해주셨어요)
일단 저는 개인적으로 세팅한 KPI가 있어요.
[Input] 자기계발/일에 얼마나 몰입했는가?
[Input] 얼마나 많은 책을 읽었는가?
[Input] 글쓰기(메모)를 얼마나 많이 했는가?
[Output] 디스콰이엇에서 세운 목표를 얼마나 잘/자주 달성했는가?
[Output] 자산이 얼마나 쌓였는가? (주식, 배당, 연봉, 스톡옵션 등)
인생을 마치 게임하듯이 경험치 쌓는 시스템을 만들고 싶고, 현재 이런 KPI들이 저의 EXP에요.
3. 간혹 등장하는 슈퍼스타가 있다고 합니다. (마치 유니콘 같은 존재)
이런 분들은 회사에 남을 수 있게 발목을 붙잡으라고 해요. 저는
유니콘, 아니 드래곤이 되겠습니다. (왜냐면 제가 용띠라서 ㅎㅎ)
[개인이 계속 성장하려면?]
피드백 사이클을 짧게 만들어라
연간/반기 리뷰 : 최근 스스로 상반기 회고를 했어요.
분기별 리뷰 & 멘토링 : 나보다 한 두단계 먼저 밟은 분들에게 받는 것이 베스트라고 해요. 저보다 먼저 커뮤니티/SNS 스타트업, 그리고 오퍼레이션 업무를 경험한 분들에게 연락해서 만나뵙고 있어요.
주/격주 1on1 & 동료 피드백 : 시간을 잡고 1on1이나 피드백을 받고 있지 않지만, 필요할 때와 상시로 피드백을 주고 받고 있어요.
자기회고 (의도적으로 훈련) : 스스로 의도적인 메타인지는 항상 어려워요. 그래서 저는 사고하는 과정을 모델링해서 루틴으로 만드려고 노력중이에요. 근데 너무 어려워요. 이렇게 해야된다는 것을 자꾸 까먹어요.
책/뉴스레터/아티클을 자세히 읽는 법
훑어보기 : 제목을 보고 내용을 예측하면서 내용을 대략적으로 읽어 본다.
질문하기 : 궁금하거나 더 알고 싶은 내용을 질문 형태로 제기한다.
자세히 읽기 : 실제로 글을 읽어 나가며 세부적, 전체적 정보를 확인한다.
되새기기 : 질문에 대한 답변을 파악하고, 자신의 예측이 맞았는지 확인한다.
재검토하기 : 읽고 난 후 내용을 정리, 확인한다.
기존 지식과 새로운 아이디어를 연결시키는 법
옵시디언을 이용한 제텔카스텐 글쓰기
아날로그 필기(뇌 기억 부위인 해마를 자극) → 옵시디언, 노션에 디지털화(아카이빙 용이)
내용 이해 여부를 추적하는 법
공부하기 전에 내가 모르는 것을 적어둠
공부가 끝나고 알게된 것을 적어서 비교
내가 조직의 드라이버인가 병목인가
팀의 초기 단계 : 거의 모든 것들은 약간씩 해야함
팀의 성장 단계 : 더 많은 것들을 더 많이 해야함
And so on : 여전히 더 많아짐. 이젠 더 적은 것들을 더 제대로 해야함. 그러므로 다른 팀원들에게 위임하기
추상화 layer를 오갈 수 있어야 올라간다
나로 인해 팀의 수준이 올라가고 있는가
기존/현재보다 더 나은 방법을 끊임없이 공부하고 제시 : 그래서 반복적인 회고가 중요!
의도적 연습 필요; Deliberate Practice
강점에 집중하고 약점은 팀원들과 보완한다.
Deadly weakness는 고쳐야한다.
Tweener가 되면 안된다. (이것도 적당히 저것도 적당히 하지만, 뭐 하나 제대로 맡기기 어려운 사람)
본인의 슈퍼파워를 극대화하는 일을 하고, 부족한 점은 다른 팀원의 슈퍼파워로 보완해야함
저는 아직 Tweener인 것 같아요. 현솔님이 작성한 Operator의 역할을 참고하며, Market Adoption을 책임질 수 있는 능력에 집중하려고 합니다.
나 스스로를 6~12개월마다 해고할 수 있는가
What got you here won't get you there
Unlearn이 중요
스스로의 JD를 계속 작성
내 두뇌가 자신에 함몰되어 있진 않은가
전두엽의 역할 : 장기적 사고, 전략적 사고
멘탈적으로 환경적으로 힘들어지면 생존에 신경 쓰게됨
주변인이나 테라피 등을 통해 해결
스스로 내적 동기부여 할 수 있는가
Relatedness (관계성) : 사람들과의 관계와 소속감
Autonomy (자율성) : 자기주도적인 환경
Mastery (숙련) : 학습과 성장을 통한 몰입
Purpose (목적) : 의미 있는 일, 조직, 삶
이 영상의 핵심! 가장 중요한 3가지
나의 실력 (Capability, Smart)
나의 마음가짐 (Motivation, Attitude, Integrity)
나의 성실성 (Conscientiousness)
존잡생각 출처 : https://youtu.be/drBdnrlsq9o